미분류한 것/스크랩

[스크랩] 맞춤법 "되다/돼다"

falcon1999 2008. 11. 5. 10:18

출처: http://blog.naver.com/3644young?Redirect=Log&logNo=60056120027

 

우리말 가운데, "되다/돼다(?)"와 같이 자주 헷갈리는 말이 있습니다.

그러나 이는 헷갈리는 것이 아니라,

오히려 비슷한 다른 말의 구분이나 과거형 말의 쓰임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착각하게 되는 경우입니다.

     우리 한글에 없는 "돼다"라는 말
 
    결론부터 말하면, 우리말에 “돼다”란 말은 없습니다.

그리고 “돼”는 “되어”의 줄인 말입니다.

그러므로 예를 들어,  "돼다"를 풀어본다면 “되어다”가 되므로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.

   반면, “됐다”는 “되었다” 의 준말이며, 맞는 말입니다.

흔히 분명하게 틀린 경우가 “돼다”, “돼어” 등으로 쓴 것입니다.

   이를 정확하게 감별하는 방법은 일단 “돼”라고 적어놓고,

되어”로 바꾸어 보는 것입니다.

그렇게 하여 표현이 어색하거나 말이 되지 않으면 되로 쓰고,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러우면 돼로 써야 합니다. 

      "습니다"  →  "되었습니다" 
      "안 "  →  "안 되어" 
      "다 돼어 갑니다"  →  "다 되어어 갑니다"  ×   →  "다 돼(되어) 갑니다"
      "안 돼므로"  →  "안 되어므로"  x  →  "안 되므로"
      "안 요!" → "안 되어요"
      "의사가 되어 다시 만나자"  → "의사가 돼(되어) 다시 만나자"
      "춤도 돼지?" → "춤도 되어지?" ×  →  "춤도 되지?"
      "물거품이 돼고 말았다" → "물거품이 되어고 말았다" ×  → "물거품이 되고 말았다"

      어미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'되'와 '돼"

   아직도 분명하지 않으신가요? 아직도 헷갈리시나요?

'되'나 '돼'의 뒤에 붙는 어미에 따라 달라지는 확실한 구별 방법 한 가지를 먼저 소개합니다.
 
   첫 째,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는 "되"를 씁니다.

즉, 되(어간) 뒤에 +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(-고, -며, -니, -자 등)가 올 때,

되고, 되며, 되니, 되자처럼 씁니다.

예를 들어, '지금까지는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'와 같이 쓰입니다.

   둘 째,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"되어(돼)"를 씁니다.

즉, 되(어간) 뒤에 +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(-어, -어서)일 때, 되어(돼)서로 씁니다. 예를 들어, '이번에는 잘 되어야 할텐데'나 '이번에는 잘 돼야 할 텐데', 또는 '여기 앉으면 되어요.', '여기 앉으면 돼요.'처럼, 둘 모두를 쓸 수 있습니다. 

     '되→하'와 '돼→해'를 대입해 알아보는 방법 

   '되'와 '돼'의 또 다른 구별법인 이 한 가지는 저에게는 헷갈리고 조금 어려운 방법입니다.

아래 댓글처럼 더러는 이 방법으로 구별하여 쓰는 것이 더 쉬울 수도 있습니다.

   모 TV 방송국 프로그램에서 소개해 화제가 되었던 방법이기도 합니다.

'되를 → 하'로 '돼를 → 해'로 대입해서 구별합니다.

가끔 이 방법으로 헷갈리는 경우가 있기도 하며, 그래서 더 헷갈릴리지 않을까 싶어서,

구별 방법으로 소개할까 말까를 고민했던 방법이기도 합니다.

   예문을 들어 봅니다. '

이번에는 잘 되어야 할텐데.' → '이번에는 잘 야 할 텐데'처럼,

이 두 문장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.

여기에서 처음 문장에 '해'를 넣어 보면 문장이 자연스럽게 괜찮고, '하'를 넣으면 문장이 어색합니다.

   그러므로 "'돼'로 고쳐 넣어 쓸 수 있는 문장"인 것입니다.

다시 정리합니다. '돼" 대신에, '하'와 '해'를 넣어서 사용이 적절하면,

즉, '해'를 넣어 말이 되고 어색하지 않으면,

'되어'라고 쓰인 곳을 '돼'로 바꾸어 쓸 수 있는 경우입니다.

이 때는 '돼'가 '되어'의 준말로 쓰인 경우인 것입니다.

 

[출처] 맞춤법_"되다/돼다"|작성자 만두